나잇살, 술살... 나이가 들수록 피할 수 없는 만인의 고민거리 뱃살!
뱃살의 주범인 내장지방은 체내에 염증 반응을 일으켜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특히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내 몸의 시한폭탄 뱃살! 뱃살의 숨겨진 진실을 파악한다.
현재 학계에서는 수십 년간 비만도를 측정하는 기준이었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 지수(BMI) 값’이 무용론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즉 이제는 BMI 만으로 비만도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 BMI가 정상 수준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은 복부 비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심장마비가 오거나 심장 질환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질환과 암을 유발하는 뱃살의 위협에서 벗어나, 내 몸을 건강하게 지킬 수 있는 해법에 대해 모색해 본다.
# 뱃살이 당신을 노린다
현대인의 고민거리 중 하나 뱃살! 생리불순과 수면장애 거기다 당뇨 위험까지 노출된 이희영 씨(가명, 35세).
그녀의 비만 지수는 40으로, 현재 심각한 고도비만 범주에 속해있다.
한때 잠시 일을 쉴 때는 20kg 넘게 감량했지만 이내 요요현상이 나타났다.
비만 치료를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그녀는 결국 위절제술을 받기로 했다.
순댓국집을 운영하는 오종명 씨(34세)는 늘 손님이 뜸한 틈을 타 불규칙한 식사를 하며 물 대신 탄산음료를 달고 산다.
그래서일까 항상 야식, 폭식을 반복하다 보니 대사증후군의 5가지 요소 중 무려 4가지 요소를 가지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당뇨, 혈압, 고지혈증도 위험한 수준이다.
내장지방이 많은 복부비만은 심뇌혈관의 위험성을 더욱 높인다.
얼마 전 심용호 씨(57세)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받았다.
뱃살로 인해 심장으로 가는 주요 혈관이 막혔기 때문이다.
또한 뱃살은 암과 치매 발생 확률도 높인다.
지방으로 인해 생긴 염증이 암을 유발하고, 대뇌피질의 크기를 위축시키는 것이다. 과연, 뱃살의 위험은 어디까지일까?
# 왜 유독 배에 살이 찔까?
김삼호 씨(180cm/114.2kg)의 체질량 지수는 34.9, 신영무 씨(178cm/96.4kg)의 체질량 지수는 30.4이다. 성인 기준 체질량의 정상 지수를 25 이하라고 했을 때, 놀랍게도 두 사람 모두 비만이다.
그렇다면 과연 체질량 지수(BMI) 만으로 비만도를 판단할 수 있을까?! 또한 뱃살이 찌는 이유 역시 사람마다 다르다.
폐경기 이후 여성의 몸은 복부에 지방을 분해하는 렙틴이라는 효소의 활성으로 인해 지방이 늘기 쉬운 상태로 변한다.
중년 남성의 경우, 잦은 술자리와 스트레스가 그 원인이다.
각종 심각한 질환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뱃살! 대체 왜, 열심히 운동해도 뱃살은 쉽게 빠지지 않는 걸까?
효율적으로 뱃살을 뺄 수 있는 운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 뱃살 빼는 생활습관
OECD 회원국 중 비만율이 가장 낮은 나라 일본.
일본 미쓰케시는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시에서 직접 시민들의 비만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뿐만 아니라 도쿄에 자리한 체중계 회사도 저염식 식단과 계단 이용 등을 통해 직접 직원들의 비만 관리에 나선다.
한국에서도 개인의 노력을 통해 체중을 감량한 사례자가 있다.
140kg 거구에서 무려 77kg 나 뺀 박성진 씨.
그는 꾸준한 운동과 식이조절을 함으로써 평소 생활습관을 완전히 바꿨다.
한편 폐경기, 야식, 불규칙한 식사, 음주 등으로 인해 여전히 뱃살과 전쟁을 치르고 있는 네 명의 사례자들이 있다.
그들도 건강하고 효과적으로 뱃살을 빼기 위해 <뱃살 개선 3주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명상, 웃음 치료, 유산소·근력 운동’ 등을 수행한 3주 후! 그들의 몸엔 어떤 변화가 찾아 왔을까? 방송을 통해 그 놀라운 변화를 직접 확인해 보자.
■ 방송일시 : 2018년 9월 12일 (수) 22:00 ~ 22:55, KBS 1TV
■ 프로듀서 : 전수영, 김규식(PD클럽) / 담당 작가 : 김민정, 차지영, 홍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