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명작의 재앙 클로드모네작품저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Ⅲ. 명작의 재앙

1900년대 초 프랑스,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다. 

그런데 뜻밖에도 사람들은 이 사고가 한 점의 그림 때문이라고 말했는데… 

세계적인 화가 클로드 모네의 작품에 얽힌 저주 이야기!


클로드 모네는 프랑스가 정치, 경제, 사회등 각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는 시대에 태어나

86년간의 긴 세월을 오직 화가다운 신념만을 가지고 살다간 작가 입니다.

클로드 오스칼 모네는 1840년 11월 14일 프랑스 파리 라휘드 가에서 식표 잡화상을 하는 아버지와

리옹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냈다고 해요-

파리에서 5년간 유아기를 보내다가 그는 아버지의 재정적 어려움때문에 노르망디 지방의

항구도시 르아브르로 이사를 하게 되었어요.


감수성이 예민한 소년기를 강과 바닷가에서 보낼 수 있게 된 것은

인상파 화가로서 빨리 성장할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죠.

어린 소년시절부터 학교생활을 통해 그의 재능은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했고

15세가 될 때 커리커쳐 리스트로 인물 소묘를 거래할 수 있는 실력과 인기를 갖추게 됩니다.

선원의 아들이자 해양화가인 부댕은 모네의 뛰어난 재능을 발견하고 선배로서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네요


1859년 미국 평론가인 샹 프릴리와 보들레르등과 만나게 되어

인생과 예술, 문학, 정치 등에 토론을 하며 인연을 맺게 되었어요.

그 일년 후 1860년 알제리로 가서 2년간 군대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는 여기서 그림을 그리는데 강한 태양빛과 그 인상에 감명을 받았어요.

고향에 다시 돌아와 또 한사람의 스승을 만나는데 그가 바로 수채화의 대가인

용킨드(J.B.JONGKIND, 1819~1891)입니다



모네는 다채로운 자연의 광선을 본래의 고유 색과 명암이라는 수단으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캔버스에 재현하기 위해 표현방법상의 혁신을 꾀하였는데요!

자연의 빛을 화면에 정착시키는 독특한 기법을 창조한 것이죠-

그것은 태양의 빛을 구성하는 프리즘의 7색을 기본으로 하여 색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사용한다는 기법을 활용하게 되었는데 이 방법이 "색채분할"인 것입니다.

물감을 섞으면 섞을 수록 어두워지므로 자연의 짧은 순간을 재현하기 위해서

병치 혼용 기법을 사용해 순수한 단일색채로 풍경을 그린다면

자연의 일광마늠 밝지는 못해도 일광의 광도와 생기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 것

모네의 스타일은 일순간에 시각으로 감응한 이미지를 작은 물감자국으로 캔버스에 그려나가는 것입니다.
색조를 달리해 가며 덧칠하는 전통적인 기법 대신 그는 다른 색깔들을 나란히 배열해 진동하는 듯한 효과를 주고 있어요.
이러한 '시각적 혼합'방법을 통해 분할된 색채들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보면 서로 혼합되어 보이죠-
그림자를 묘사할 때 모네는 검정색 대신 정 반대의 보색을 사용하곤 했어요.


1880년에 모네는 물감의 사용법을 바꾸었답니다
작은 반점을 사용하는 대신 그는 자신의 화필을 늘여서 구불구불한 필치를 사용했어요.
1900~1926년 사이에 그려진 수백 접의 <수련>연작을 보면 윤곽선이 없이 형태와 선이 붓자국으로 뒤섞이도록 하고 있어요.
수많은 색채들이 서로 뒤섞여서 마치 꽃과 연못 물과 잎이 섞이 것처럼 묘사되어 있습니다.
원근법이나 실제적인 이미지가 뚜렷이 제시되지 않은 채 소용돌이치는 색채의 흐릿한 안개속으로 사라져있어요.
거의 추상에 가까운 이 그림의 주제는 빛속으로 모네가 본 색채 그 자체입니다.